Surprise Me!

[김승련의 현장 칼럼]‘개문발차’ 주 52시간

2018-07-04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찰리 채플린이 연출하고 직접 주연을 맡은 무성영화 ‘모던 타임즈’의 한 장면입니다.<br><br>그는 잠시도 쉴 틈 없는 공장을 우스꽝스럽지만 아프게 그려냈죠. 우리나라 근로자 연평균 노동시간 2052시간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노동시간이 깁니다.<br><br>오늘의 우리 모습도 영화 속 찰리 채플린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. 과로사회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일과 삶의 균형, 워라밸을 찾으려는 아우성이 들려왔습니다.<br><br>문재인 정부와 여야 국회의 선택은 주 52시간 근무제였습니다. 오늘이 시행 나흘째인데요. 장마빗길에 40대 버스기사를 만났습니다. 그는 제게 휴대전화를 쥐어줬습니다. 거기엔 빼곡한 운전 일정이 있었습니다.<br><br>일산과 서울을 하루에 6,7번...이틀에 한번씩 하루 15시간, 최대 18시간을 운전하고 있었습니다.<br><br>동시에 수당이 줄어들 것을 걱정했습니다. 쉬고 싶지만,더 쉬면 삶은 더 팍팍해 지는 역설이 이 버스기사만의 일은 아닐 겁니다.<br><br>그래서 묻고 싶습니다. 정부와 국회가 이렇게 중요한 결정을 앞두고 얼마나 삶의 현장에 가까이 다가서서 국민의 마음을 읽었을까요.<br><br>김동연 부총리는 지난주 불호령을 내렸지요. "사무실에 아무도 없어도 좋다"면서요.<br><br>우리 공직자들 진작 이랬어야 하지 않을까요? 주 52시간 근무제의 정신은 이겁니다.<br><br>그동안 우리 사회가 너무 급하게 달려왔으니 이제는 좀 천천히 가자는 것이지요.<br><br>하지만 52시간 정책은 마치 문 열고 급하게 출발부터 하고 보자는 버스같습니다.<br><br>이른바 '개문발차' 방식의 정책 추진. 조금 느리게 가자는 52시간 근무시대엔 더이상 없었으면 좋겠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